 
[한국목재신문=편집국]
국립산림과학원, '건조목재에서 방산되는 피톤치드 양 측정...여름철 더 높아'
목재 인테리어만으로도 피톤치드 효과 얻을 수 있을까?
최근 목조주택과 실내 인테리어 등으로 친환경 목재 사용이 증가하면서 가공된 목재에서도 피톤치드가 나오는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.
국립산림과학원(원장 전범권)은 목재를 건조해 제재한 직후 내뿜는 휘발성 물질을 측정했다. 그 결과 건조된 목재에서도 모노테르펜(monoterpene)과 세스퀴테르펜(sesquiterpene) 등 피톤치드 성분이 85% 이상 나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.
남해의 편백 원목을 제재해 저온 건조한 뒤 일정한 크기(16cm×16cm×1.2cm)로 시편을 만들어 휘발성 물질을 측정한 결과 2,680ng/L의 피톤치드 물질을 발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실험결과 여름철 실내 온습도에 노출된 판재에서 피톤치드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. (자료=국립산림과학원)
특히 건조목재에서 발생하는 피톤치드는 여름철 실내 환경(온도 30도, 습도 70% 조건)에서 더 많이 나오며 봄과 가을철 실내 환경에 비해 약 33%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국립산림과학원 목재화학연구과 이성숙 과장은 “숲을 찾아가지 않더라도 목재를 사용한 실내에서도 피톤치드를 통해 스트레스 완화, 면역력 강화, 향균 등의 긍정적인 효과들을 경험할 수 있을 것”이라고 말했다.
한국목재신문 편집국 webmaster@woodkorea.co.kr
|